<관련 포스팅>
[네트워크 IP] IP 기반 통신(ARP,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IP] DHCP, NAT

IPv4 와 IPv6

  • IP 주소는 IPv4와 IPv6로 나뉨
  • 추세는 v6로 가고 있지만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주소 체계는 v4임
    (아래 설명도 모두 v4 기준)
  IPv4 IPv6
단위 32bit를 8bit 단위로 나눔 64bit를 16bit 단위로 나눔
예시 123.45.67.89 2001:db8::ff00:42:8329

 


클래스 기반 할당 방식(classful network addressing)

클래스 기반 할당 방식이란

https://dad-rock.tistory.com/225

  • 초기 IP 주소 체계는 다섯 개의 클래스로 구분하는 클래스 기반 할당 방식을 사용함
  • 앞부분은 네트워크 주소, 뒷부분은 컴퓨터에 부여하는 호스트 주소
  • A, B, C 클래스는 일대일 통신, D클래스는 멀티캐스트 통신을 위해 사용됨
  • E클래스는 미래를 대비한 예비용으로 남겨두었지만, IPv6가 등장하며 쓸모가 없어짐

 

구분 비트를 통한 클래스 구분

https://forum.huawei.com/enterprise/en/classes-of-ip-address/thread/706443-861

  • 가장 왼쪽에 있는 “구분 비트” 를 통해 클래스 간의 IP가 나눠짐
  • A클래스의 경우 첫 8bit가 00000000 ~ 01111111까지 표현 가능하고, (0~127)
    B클래스의 경우 첫 8bit가 10000000 ~ 10111111까지 표현 가능한 것 (128~191)

 

클래스 기반 할당 방식의 단점

  • 네트워크의 첫 번째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로, 가장 마지막 주소는 브로드캐스트용 주소로 사용됨
  • 즉 12.0.0.0과 12.255.255.255를 제외한 12.0.0.1 ~ 12.255.255.254까지만 호스트 주소로 사용됨
  • 그러나 이 방식은 사용하는 주소보다 낭비되는 주소가 많다는 단점이 존재

⇒ DHCP, IPv6, NAT/서브네팅, 슈퍼네팅이 등장

 

클래스별 주소 차지 비중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kyjjw79&logNo=220826881508

  • 전체 주소 비율의 50%는 A클래스가, 25%는 B클래스가… 사용
  • 너무 큰 브로드캐스트 도메인패킷 전송을 느리게하고 성능저하를 발생

 


네트워크 마스크

넷마스크(Net mask)

  • 네트워크 주소 부분의 bit를 1로 치환한 것
  • IP 주소와 넷마스크를 AND 연산하면 네트워크 주소를 얻을 수 있음

 

기본 서브넷 마스크(Default Subnet mask)

  • 별개의 서브넷 마스크를 생성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서브넷 마스크
  • 클래스 체계에 의해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나누기 위한 개념
  • 디폴트 마스크도 서브넷마스크라 하며, 최근에는 크게 구분을 두지 않음
  • 192.168.3.19/24와 같이 IP 주소 뒤에 붙는 것은 /{마스크에서 1인 bit의 수}
    • 네트워크 ID: 192.1698.3.0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클래스 없는 도메인간 라우팅 기법이라는 뜻을 내포함
  • 클래스에 국한되지 않고 주소를 더욱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하는 방식
  • 서브넷팅, 슈퍼넷팅은 CIDR의 일환

 


서브넷팅(Subnetting)

서브넷팅이란

  • 서브넷: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 네트워크
  • 이런 서브넷을 만들때 사용되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것서브넷팅
  • 여기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분할 하는 것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Host Number를 Subnet Number와 서브넷 안에서 식별되는 Host Number로 재분리
  • 낭비되는 호스트들의 비효율성을 해결하도록 서브넷팅을 위해 사용함

 

서브넷/디폴트/슈퍼넷 비교

  • 서브넷/슈퍼넷도 하나의 네트워크임
  • 슈퍼넷은 여러 작은 서브넷을 합친 것으로, 서브넷의 반대의 개념
  • 필요한 라우터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

 


References

+ Recent posts